뇌 가소성 : 뇌 세포와 뇌 부위가 유동적으로 변하는 것
우린 왜 꿈을 꿀까? :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자전하기 때문에 꿈을 꾼다? 이게 무슨 소리일까. 뇌 가소성을 통해 알아보자.
- 우리 뇌는 20만년 전 조상의 뇌와 다를바 없다. 뇌 가소성 덕분에 적응을 하면 살 수 있었다. 미리 설계된 구조를 가지고는 적응하기 어려웠기 때문
- 뇌는 빠른 성장과 전문성을 포기하고 어떤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는 가소성을 선택한 것!
- 뇌의 각 부위는 어떤 일을 하기 위해 태어난 게 아니라, 단지 그 일이 주어졌기 때문에 그 일을 하게 된 것
- 우리 뇌는 신체 부위 하나가 사라지면 뇌에서 그 부분을 담당하던 부분이 다른 부분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잠식하게 됨(재구성된다)
- 인간의 뇌는 미완성으로 태어나 외부세계를 스스로 공부하면서 성장함
- 담당 부분의 변화는 매우 빠르게 변화함
- 시각을 담당하는 부분이 1시간만 막혀있어도 청각을 함께 담당하게 시작함. 그렇기 때문에 잠을 잘 때 시각 담당 부분이 사라지지 않게 하기 위해 뇌간의 외측슬상핵(시각 담당으로 랜덤한 신호를 보냄), 뇌교(근육을 마비시켜 몸을 움직이지 않고도 세상을 경험하는 듯 만듦)를 통해 렘수면 즉, 꿈을 발생시킴(뇌에게 가짜 일거리를 줌)
- 뇌가 원래 처리하던 업무가 아니라 새로운 업무를 처리하게 되어도 뇌는 변화하며 적응하여 처리할 수 있음
- 하지만, 들어오기만 한다고 처리하게되지 않음. 그 변화를 위해서는 그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되어야 함!
- 의미없이 반복하는 일은 뇌를 변화시키지 못함. 뇌가 변화할 때는 흥미와 긍정적 정서를 느낄 때(스스로 내재적 동기를 느끼는 것)
- 즉, 뇌의 가능성은 무한하다! 나의 내재적 동기와 꾸준한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참고 영상
인간의 뇌는 위험한 도박을 했다 | 뇌 가소성, 뇌과학 이야기
< 나를 위한 기록 >
곧 프로덕트 디자인 부트캠프가 시작한다.
부트캠프가 시작하면 나만의 속도로 새로운 지식을 얻는 게 아닌, 보다 빠른 속도로 새로운 지식들을 배우게 되어 낯설고 버겁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뇌 가소성을 배우고 꾸준함과 내재적 동기의 중요성을 배웠으니, 힘든 순간들을 견뎌서 나의 뇌가 적응하도록 만들자!
내가 왜 새로운 프로덕트 디자인 UXUI 디자인 분야를 시작하게 되었는 지 잊지말자.
도시계획 전공 관련 회사를 다니다가 내재적 동기가 생기지 않아 퇴사를 결정하고, 디자인이라는 분야에서 일을 하고 싶다는 열망으로 캐릭터 브랜드 운영을 했다. 하지만 혼자서 디자인을 배우면서 사업을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나는 시간 낭비를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모든 것은 쌓이고 있다. Everything counts' 라는 말을 믿는다. 브랜드 운영 경험을 하면서 비즈니스적 관점에 대해서 배웠고, 캐릭터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 콘텐츠, 제품을 제작하면서 디자인 스킬을 상승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자인을 좀 더 체계적으로 배우면서, 작품보다는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뿌듯한 디자인을 하고 싶다는 생각과 더불어 내가 공부하고 싶은 내재적 동기가 생기는 분야로 취직해서 지속적으로 배우면서 성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새롭게 목표를 잡고 시작하게 된 UXUI디자인.
디자이너를 업으로 삼아서 디자이너로 살고 싶다. 도시계획 전공을 포기하는 것을 주변에서 많이 말리곤 한다. 연봉테이블도 그렇고, 업무 강도도 쎄고 노력하지 않으면 도태되는 속도가 빠른 업계이기 때문이다. 두렵지 않다면 거짓말이고, 가끔 돈을 생각하면 흔들리기도 하지만, 당장 눈앞의 미래보다는 인생을 길게 보고 싶은 나는 내재적 동기가 생기지 않는 도시계획을 그만두는 게 맞다는 결정을 내렸다. (물론 언젠가는 후회할 수도 있겠지만)
대한민국에서 신입으로 늦은 나이가 되어가고 있지만, 새로운 도전을 해보려고 한다. 이왕 하는 거 비전공임에도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 남들보다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발판으로 디자인 지식을 더하며 꾸준히 성장하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
내가 힘들 때마다 하는 되내이는 말이 있다.
"나는 모든 문제의 해결책을 가지고 있다."
지금 생각하면 이게 뇌 가소성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힘들 때마다 뇌 가소성을 생각하면서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얻자..! 결국 잘 해낼거야.
'동기부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밍업 - 아토믹 해빗⌜아주 작은 습관의 힘⌟ (4) | 2025.02.26 |
---|---|
워밍업 - 메타인지 (0) | 2025.02.25 |